연예

감정을 외부로 드러내는 FJ 형, TP 형 분석, MBTI TP, FJ

패스자 2023. 5. 22. 20:48

감정을 외부로 드러내는 성격유형은 8가지이다.

 

넷은 선천적으로 느끼는 사람이지만, 나머지 넷은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8가지 유형 모두-생각하는 사람과 느끼는 사람-가 두 기능을 사용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감정을 외부로 드러내는 4가지 유형의 느끼는 사람

ENFJ형
INFJ형
ESFJ형
ISFJ형

4가지 유형에서 마지막 두 문자, 즉 F와 J가 똑같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두가 느끼는 판단하는 사람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FJ형은 모두 느낌을 외부로 드러내는 사람이다.


감정을 외부로 드러내는 4가지 유형의 생각하는 사람

ENTP형
INTP형
ESTP형
ISTP형

여기에서도 마지막 두 문자, T와 P가 똑같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왜냐하면 모두가 생각하는 인식하는 사람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P형 역시 감정을 외부로 드러내는 사람이 된다.



외향적 느낌의 소유자의 특징

일반적으로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는 삶(FJ형과 TP형)은

1. 다른 사람과 인간 관계를 맺는 데 열심이다.
그들은 선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인다. 또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어내고, 원하는 것을 알아내는 데 능숙하며, 그렇게 알아낸 것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려 한다.


2. 다른 사람의 비위를 맞취며 동의를 구하려 한다(특히 FJ형에서).
그들은 다른 사람과의 좋은 관계를 위해서 커다란 희생을 감수하기도 한다.


3. 매력적이고 카리스마적일 수 있다(특히 외향형의 사람에게서 뚜렷하다).
그들은 다른 사람을 설득해서 믿고 따르게 만드는 데 능숙한 뛰어난 언변가이다.


4. 외부로 표현한다(특히 외향적인 사람에게서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들은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는 중에 수시로 얼굴표정이 바뀐다.
눈을 깜박거리거나, 쉽게 너털웃음을 터뜨리고, 다양한 얼굴 표정을 보여준다.
미소를 짓다가도 금세 인상을 찡그린다. 반응이 즉각적이고 변화무쌍하다. 또한 감정의 변화도 수시로 일어난다.


5. 다른 사람을 칭찬하거나 비난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지만,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자신의 잘못이라 인정하기보다는 아무런 잘못도 없는 남을 탓하는 경우가 있다.


6. 외모를 의식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염려하는 편이다.

또한 편한 복장을 하기보다는 상황에 걸맞고 깔끔하게 보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느끼는 판단하는 사람(FJ형)을 읽어내는 단서

느끼는 판단하는 사람(FJ형)에 속하는 4가지 성격유형-ENFJ형, XSFJ형, ISFJ형-에 공통되는 단서를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그런 유형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

1.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TP형과는 달리 개인적인 가치관에 따라서 의사결정을 내린다.

2. 본인의 감정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감정도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편이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 그런 감정을 솔직히 말하면서 공감대를 찾는다.

3. 진실로 다른 사람을 도와주려 하며, 그렇게 하는 데서 성취감을 느낀다. 이처럼 남에게 도움을 주려는 것에 적극적이기 때문에, 정작 자신의 욕구보다는 다른 사람의 욕구를 우선시한다.

4. 본인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어법을 구사한다. 따라서 "멋진", "굉장한", "아름다운", "기가막힌", "터무니없는", "어림없는" 등과 같은 낱말을 즐겨 사용한다.

5. 의사표현이 분명하다. 남에게 충고하기를 좋아한다. 그런 단서는 "자네가 꼭 해야 하는 것은 당장에 찾아가서 빚을 받아내는 거야! 나라면 그렇게 할 거야!" 라는 표현에서처럼 '꼭' 등의 낱말에서 찾을 수 있다.

6. 승낙과 거부를 얼굴 표정으로 나타낸다. 예를들어 불쾌감을 드러내기 위해서 "정말이야?"라고 되묻듯이, 눈썹을 치켜뜨거나 고개를 갸우뚱한다.


생각하는 인식하는 사람(TP형)을 읽어내는 단서


FJ형과는 대조적으로,

TP형에 속하는 4가지 유형-ENTP형, INTP형,ESTP형, ISTP형-에서는 다음의 경향을 찾아볼 수 있다.


1. 자신의 가치관이나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 모른다는 염려보다는 객관적인 분석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

2. 종종 느낌이란 편향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즉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도구로 이용해서 목표를 달성한다.

3. 상황의 양면, 즉 여러 각도에서 상황을 분석하는 데 능숙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토론하고 논쟁하기를 즐긴다(이런 면에서 FJ형과 뚜렷이 대비된다. FJ형은 조화로운 관계를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분쟁이나 긴장으로 인간관계를 소원하게 만들 수도 있는 논쟁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4. 감정 변화가 심하다(특히 XNTP형과 XSTP형). 감정에 매우 다양하게 반응하며, 극단적인 감정 변화를 어렵지 않게 보여준다.


5. 실리적이다. FJ형과는 달리, 그들은 새로운 정보에 수용하거나, 더욱 효과적인 전략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기존 입장을 쉽게 포기하기도 한다. 또한 FJ형과는 달리, 도덕이나 가치관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는다. 따라서 상황이 달라지면 그들은 원래의 입장에서 기꺼이 물러선다.

6. 일반적으로 신중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태평스런 사람처럼 보인다. '경박'하고 거리낌없는 태도로 주변 사람을 즐겁게 만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