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적당한 헌혈 주기는? 나이, 체중, 건강 상태, 여행이력 등 헌혈 조건

패스자 2025. 6. 14. 14:52

 

헌혈 가능한 조건과 적당한 주기는?

혈액은 우리 몸속을 끊임없이 순환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만약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혈액이 부족해지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이때, 타인의 따뜻한 마음이 담긴 헌혈은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기적을 만들어낸다.

헌혈은 건강한 사람이 자신의 혈액을 기증하여 다른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고귀한 행동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헌혈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헌혈 가능 조건과 헌혈 주기를 정확하게 알고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헌혈 가능 조건과 주기를 자세히 알아보고 건강하고 안전한 헌혈 문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헌혈이란?

헌혈은 건강한 사람이 자신의 혈액을 기증하여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고귀한 행위다.

혈액은 아직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기에, 수혈이 필요한 환자들은 헌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헌혈을 통해 얻은 혈액은 수술 중 출혈이 발생한 환자, 백혈병, 혈우병 등 혈액 질환 환자, 각종 사고로 인해 다량의 출혈이 발생한 환자에게 수혈되어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데 사용된다.

헌혈은 크게 전혈 헌혈성분 헌혈로 나뉘는데,

  • 전혈 헌혈 : 혈액의 모든 성분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을 채혈하는 헌혈이다.
  • 성분 헌혈 : 혈액 성분 중 특정 성분 (혈소판, 혈장 등) 만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다시 돌려주는 헌혈이다.

 

헌혈은 생명을 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헌혈자 본인의 건강 관리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헌혈 전 건강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헌혈 후에는 새로운 혈액 세포 생성이 촉진되어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

헌혈은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헌혈 가능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헌혈 전후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안전하게 헌혈 할 수 있다. 

 
 

헌혈 가능한 조건은?

헌혈은 생명을 살리는 소중한 행동이지만 안전한 헌혈을 위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크게 나이, 체중, 건강 상태, 헌혈 기록, 여행 이력, 약물 복용 여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나이

  • 전혈 헌혈 : 만 16세 ~ 69세
  • 혈장 성분헌혈 : 만 17세 ~ 69세
  • 혈소판 성분헌혈, 혈소판혈장 성분헌혈 : 만 17세 ~ 59세
  • ​65세 이상인 경우 60세~64세 사이에 헌혈 경험이 있어야 한다.

2.  체중

  • 남성 : 50kg 이상
  • 여성 : 45kg 이상

3.  건강 상태

  • 혈압 : 수축기 90mmHg ~ 179mmHg, 이완기 100mmHg 미만
  • 체온 : 37.5℃ 이하
  • 맥박 : 분당 50회 ~ 100회
  • 혈색소 : 전혈 헌혈 12.5g/dL 이상, 성분 헌혈 12.0g/dL 이상
  • 질병 : 감염병, 만성 질환, 혈액 질환 등이 없어야 한다.
  • 약물 복용 : 헌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 참조)

4.  헌혈 주기

  • 전혈 헌혈 : 최근 8주 경과
  • 성분 헌혈 : 최근 2주 경과
  • 전혈 헌혈 횟수 : 최근 1년 이내 최대 5회
  • 성분 헌혈 횟수 : 최근 1년 이내 최대 24회

5.  여행 이력

  • ​말라리아 위험 지역 : 1년간 헌혈 제한 (예: 경기도 파주, 연천, 인천 강화군, 북한)
  • 해외 여행 : 귀국 후 4주 경과

6.  기타

  • 예방 접종 : 예방 접종 종류에 따라 24시간 또는 2주, 4주 후 헌혈 가능
  • 수혈 : 수혈 후 1년 경과
  • 임신 :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이내인 경우 헌혈 제한
  • 문신, 피어싱 : 시술 후 일정 기간 헌혈 제한 (자세한 내용은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 참조)

참고

  • 헌혈 가능 여부는 혈액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전자문진 또는 헌혈 현장에서 문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헌혈 전 충분한 수면과 식사를 해야 하며,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https://passja.tistory.com/287

 

국세청 발표 자료로 추정해 본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은?

“2023년 직장인 평균연봉은 4332만원,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국세청은 매년 최신 연말정산 자료를 집계해 국세통계를 발표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소득을 신고한 직장인의 1

passja.tistory.com

https://passja.tistory.com/284

 

PER 이란 무엇인가? PER, PBR, ROE 3줄 요약

1. PBR은 주가를 장부가치로 나눈 비율,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이에요.2. PBR과 PE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해요.3.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높을

passja.tistory.com